본문 바로가기

이슈/경제

현대차 GBC 건립 사업, 무기한 중단?

반응형



  10조5500억 원. 지난 2014년 현대자동차 컨소시엄이 최고가 경쟁 입찰에서 서울 삼성동 한국전력 부지를 따내는데 사용한 금액이다. 


  당시 감정가(면적 7만9,342㎡, 3조3000억 원)의 약 3배가 넘는 금액을 제출한 현대차는 본사사옥을 옮겨 부족한 사무공간을 확보하고 자동차 테마파크 등으로 ‘한국의 아우토슈타트’를 건설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현대자동차는 매매가 10조 5,500억원에 매입한 땅 중 40%를 기부채납하고 남은 60%에 대해서 취득세(4.6%) 3천억원을 지불했다. 2015년에 매입했으니 3년간 묶인 11조원의 자본비용은 연간 3%씩만 쳐도 3,300억원씩 1조원이다. 즉, 이미 12조원을 삼성동 땅에 매몰시켰고 올해도 그 3%로만 쳐도 3,600억원의 자본비용이 발생한다.


가만히 앉아서 매일 10억원씩을 버리고 있는 셈이고 연봉 3,600만원 일자리 1만개를 날리고 있는 것과 같다.



  이런 현대차의 금전적 손해 뿐만 아니라, GBC건립 계획의 연기로 서울시와 인근 상인들이 손해를 보고 있다.


  서울시는 역점 사업으로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을 추진하고 있는데 GBC추진이 늦어질수록 계획에도 큰 차질이 생겼다. 영동대로 지하화 사업은 도로 하부에 GTX는 물론 보스환승정류장, 공공상업시설을 갖춘 광역복합환승센터를 조성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로 사업비만 1조3000억 원이 투입 되는데, 이 사업에 현대자동차 GBC사업과 연계가 필수적이라는 점이다. 기초공사 등 연계작업을 위해서는 착공도 같은 시기에 시작할 수밖에 없다. 


상인들 역시 한국전력 본사 이전 뒤 없어진 유동인구에 4년이 넘도록 매출 급감현상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땅을 팔아 한전은 탈원전 적자를 매꾸고 있고, 서울시는 여기서 거둔 취득세 3천억원과 재산세로 세금 잔치를 벌였다. 마음대로 개발할 수도 없는 땅을, 그것도 40%나 기부채납 받아가면서 팔아먹고 계속 개발에 제동을 걸 거면 애초에 이 땅을 민간에 팔지를 말았어야 한다.


  기업의 이윤과 개발, 건설의 제한으로 현대는 현대대로 매일 10억원씩을 날리고 있고, 당초 기대되던 200조원의 경제효과, 삼성동 GBC가 정상적으로 건설됐다면 27년간 발생했을 120만개의 일자리, 그중 건설인력만 해도 20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


  애초에 뉴욕 맨해튼의 라커펠러 센터를 사고도 남았을 돈을, 그저 자기 나라에 랜드마크 하나 세워보겠다고 10조원 넘게 공공기부 CSR 수준으로 날리면서 산 현대차의 비극이다.





반응형